티스토리 뷰
반응형
참고
java 8 default gc
오늘 java8 default gc에 대해서 검색을 해도 공식 문서에서는 잘 검색이 안된다. stackoverflow에 default가 parallelGC라고 하는 글들이 있어서 직접 실행해보았다. 우선 sdkman으로 최신 java를 설치한다. sdk..
shuiky.tistory.com
[~] jps
[~] # jps로부터 현재 실행 중인 Java의 pid 확인
[~] # 또는 그냥 jcmd 입력
[~] jcmd [jpid입력] VM.flags
-XX:-BytecodeVerificationLocal -XX:-BytecodeVerificationRemote
-XX:CICompilerCount=4 -XX:InitialHeapSize=268435456
-XX:+ManagementServer -XX:MaxHeapSize=4294967296
-XX:MaxNewSize=1431306240 -XX:MinHeapDeltaBytes=524288
-XX:NewSize=89128960 -XX:OldSize=179306496
-XX:TieredStopAtLevel=1 -XX:+UseCompressedClassPointers
-XX:+UseCompressedOops -XX:+UseFastUnorderedTimeStamps
-XX:+UseParallelGC
[~] # 실제로는 개행이 되어 있지 않음. 가독성을 위해 개행하였다!
- jps: 현재 실행 중인 Java App.들의 pid를 목록화해준다.
- jcmd: 그냥 jcmd만 쳐도 현재 실행 중인 Java App.들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.
- 여기에 더해 PID를 입력하고, VM.flag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.
- java 8의 default gc가 ParallelGC이므로 저렇게 표시되는 듯. 반면 11은 G1GC라고 함!
'Dev.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 Cloud] Spring Cloud Config Server, Client 설정하기 (3) | 2021.07.21 |
---|---|
[Spring Boot] 애플리케이션 실행 직후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(0) | 2021.07.21 |
[Spring Boot] property를 읽어들이는 순서 (0) | 2021.07.17 |
[Spring Cloud Netflix] Eureka Server, Client 설정 (0) | 2021.07.17 |
[Java] HttpURLConnection (0) | 2021.05.21 |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react
- etc
- terraform
- Java
- Node.js
- 코딩테스트
- kotlin
- Puppeteer
- Git
- IntelliJ
- Spring Cloud Config
- eureka
- postgresql
- javascript
- RancherDesktop
- shell
- Gradle
- hashicorp
- AWS
- Docker
- Linux
- mysql
- JPA
- AWS IoT
- jQuery
- JEST
- pgloader
- spring boot
- Vault
- Database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