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토스 개발 블로그를 보던 중, 아래 글을 읽게 되었다:
레고처럼 조립하는 토스 앱
수많은 서비스를 담고 있는 대규모 iOS 앱에 어울리는 아키텍처는 무엇일까요? 프로젝트 간의 의존성과 모듈 간의 결합도를 낮춰, 더 효율적인 서비스 개발, 관리를 이뤄낸 과정을 소개합니다.
toss.tech
2023년 글이니 지금은 더 늘었겠지만, 코드가 100만줄이라니!
이 글을 보고 나니, 내가 개발에 참여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라인 수와 개발자 별 코드 라인 수를 확인해보고 싶었다.
git blame 기준이기 때문에 정확히 몇 줄의 코드를 작성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,
현재 버전 기준으로 몇 줄이나 기여했는지 정도는 알 수 있으니 재미용으로는 참고할 수 있을 것 같다.
전체 코드 수 확인
git ls-files | xargs cat | wc -l
내가 만든 명령어는 아니고, 이 블로그에서 가져왔다.
[Git] 프로젝트 내부 코드 라인 수 조회하기
현재 프로젝트 내부 전체 파일의 코드 라인 수를 조회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. git 명령어를 통해 프로젝트 내부 전체 코드 라인 수를 조회해본다. 우선 프로젝트 내부로 이동해서 아래와 같은 명
doqtqu.tistory.com
개발자 별 코드 수 확인
git ls-files | while read f; do git blame --line-porcelain $f | grep '^author '; done | sort -f | uniq -ic | sort -n
이 명령어의 경우 실행이 꽤 오래 걸리는 점에 주의해야 하며, 마찬가지로 내가 만든 명령어는 아니다.
아래 블로그에 더 자세히 작성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길!
[Git] 개발자별로 작업한 코드 줄 수 확인하기
Git 당신이 작업하는 Git폴더에 가서 다음과 같이 다음 git 명령어를 때려보자 작업자별 작업 코드 줄 수(code line count) 확인 명령어 (조금 오래 걸린다..) git ls-files | while read f; do git blame --line-porcelain
forgiveall.tistory.com
확인 결과 나는 현재 애플리케이션의 9% 정도의 코드를 개발했다고 한다. 그래도 20%는 될 줄 알았는데... 아쉽네에
'Dev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rebase를 활용한 커밋 합치기 (2) | 2024.07.20 |
---|---|
[Git] src refspec main does not match any 해결법 (0) | 2024.05.24 |
[Gradle] GradleWrapperMain을 찾을 수 없는 현상 (0) | 2023.08.30 |
[IntelliJ] 정규표현식으로 한글이 포함된 부분 검색하기 (0) | 2023.04.11 |
[IntelliJ] macOS 기준 여러 줄 선택하기 (멀티커서) (0) | 2023.01.03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hashicorp
- AWS
- 코딩테스트
- Vault
- javascript
- Gradle
- Database
- spring boot
- eureka
- shell
- Spring Cloud Config
- JEST
- Docker
- postgresql
- Puppeteer
- Node.js
- kotlin
- JPA
- AWS IoT
- mysql
- RancherDesktop
- react
- jQuery
- IntelliJ
- pgloader
- etc
- Linux
- Git
- terraform
- Java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